본문 바로가기
탐구/생물

개미의 일생, 여왕개미의 혼인비행과 군락 형성

by 몹피 2024. 6. 9.
반응형

개미의 일생

개미는 알에서 태어납니다. 여왕개미가 알을 낳을 때, 일개미가 될지 수개미가 될지를 결정하여 낳습니다. 개미는 짝짓기할 때 혼인 비행을 합니다. 짝짓기는 비행 상태에서 이루어지며, 비행이 끝나면 수개미는 죽습니다. 짝짓기한 암컷은 군체를 세우기 적절한 땅을 찾습니다. 그곳에서 암개미는 날개를 떼어내고 알을 낳아 돌봅니다. 혼인 비행에서 비축한 정자로 만들어진 수정란에서 여왕개미와 일개미가 태어나고, 수정되지 않은 알에서는 수개미가 태어납니다.

처음 알을 깐 일개미는 바로 일을 시작합니다. 일개미들 사이에는 계급이 있습니다. 젊은 개미는 알을 돌보는 역할을 합니다. 알들을 핥아서 박테리아나 곰팡이를 제거하여 알들을 건강하게 유지합니다. 1~2주가 지나면 알들은 가시를 지닌 애벌레로 부화합니다. 눈과 다리가 없는 하얗고 작은 애벌레 모양입니다. 애벌레는 움직이지 않고, 일개미가 가져온 먹이를 먹으며 자랍니다. 약 한 달 정도가 지나면, 일부 애벌레는 번데기가 됩니다. 일개미들은 번데기를 건조한 방으로 옮기고, 온도와 습도를 확인합니다. 번데기들에게 알맞은 습도를 찾아 여기저기로 번데기를 옮깁니다. 번데기가 어른벌레가 되면 일개미들이 고치를 뜯어 어린 개미가 나올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이러한 진화 과정이 일반적인데, 특이한 진화 과정을 가진 개미가 세계에 약 15종이나 있다고 합니다. 대표적으로 동남아시아에서 발견할 수 있는 '콜로브피스 익스플로덴스(Colobpis expldens)'는 위협을 받으면 몸을 쥐어짜서 스스로 터지거나 끈적끈적한 노란 액체를 뿜어냅니다.

혼인비행 (결혼비행)

개미들은 번식을 위해 해마다 혼인비행을 합니다. 지역과 종마다 비행하는 시기가 다릅니다. 보통 4월부터 11월까지 일어납니다.

 

개미 군락

개미는 진사회성 곤충입니다. 진사회성 곤충이란, 하나의 유기체인 군락이라는 사회를 형성하고 특성화된 사회 계급을 가진 곤충 집단을 말합니다. 진사회성 곤충에는 벌, 말벌, 개미가 여기에 속합니다. 개미는 수백에서 수백만 마리의 군락을 이루어 함께 살면서 팀을 이뤄 일을 합니다. 개미 군락의 사회에는 각각 역할이 있습니다. 바로 여왕개미, 수개미, 일개미입니다.

 

여왕개미

여왕개미를 알아보겠습니다. 여왕개미는 알을 낳아 군락을 유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낳은 알이 일개미가 될지 수개미가 될지를 결정하며 또한 여왕개미로도 만들 수가 있습니다. 보통 개미 군락의 여왕개미는 한 마리이지만, 일부 개미 군락에는 두 마리 이상의 여왕개미가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한 지역에 있는 군락들이 서로 연결이 되면 수십억 마리의 개미가 함께 살 수도 있습니다. 실제로 세계에서 가장 큰 개미 군락은 길이가 6,000킬로미터에 이른다고 합니다. 여왕개미의 수명은 보통 5년에서 6년입니다. 흔치 않게 30년까지도 살 수 있습니다. 여왕개미는 혼인비행에서 수개미로부터 받은 정자를 모아놓고, 산란할 때마다 꺼내 사용하여 여왕개미를 만듭니다. 다만, 정자를 이용하지 않고 낳은 미수정란은 수개미가 됩니다. 여왕개미는 일개미와 해부학적으로 똑같은 암컷입니다. 다른 개미들과 마찬가지로 알, 애벌레, 번데기의 과정을 거칩니다. 단지 다른 일개미보다 많은 양의 영양분을 공급받아 자랐기 때문에, 크기가 크고 튼튼한 개미로 자란 것입니다. 여왕개미는 알을 낳고 일개미들이 알들을 보살피며 부화시킵니다. 일개미들 또한 암컷이기에 알을 낳을 수 있는데도 군락 내에서 여왕개미만 알을 낳는 구조인 이유는 일개미가 알을 낳지 못하도록 여왕개미가 통제하기 때문입니다. 여왕개미가 죽은 후 일개미가 알을 낳으면 미수정란이므로 수개미가 태어납니다. 군락에서 다 자란 여왕개미는 둥지를 떠나 혼인비행을 하고 군락을 세운 후 날개를 스스로 떼어내거나, 일개미가 떼어냅니다. 혼인비행을 하지 않는 개미 종은 수정된 여왕개미가 몇 마리의 일개미를 거느리고 다른 지역으로 가서 군락을 세웁니다. 군락이 세워지면 여왕개미는 일평생 알만 낳다가 죽습니다.

 

 

 

참고 출처: <개미 관찰 백과>, 위키백과

반응형